박동규 교수(11)
-
[박목월 시인과 그의 아들 이야기]…(펌글)
[박목월 시인과 그의 아들 이야기] 1952년 6. 25 전쟁이 끝나갈 무렵 박목월 시인이 중년이 되었을 때 그는 제자인 여대생과 사랑에 빠져 모든 것을 버리고 종적을 감추었다. 가정과 명예. 그리고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 라는 자리도 버리고 빈손으로 홀연히 사랑하는 여인과 함께 자취를 감추었다. 얼마 간의 시간이 지난 후 목월의 아내는 그가 제주도에서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남편을 찾아 나섰다. 부인은 남편과 함께 있는 여인을 마주한 후 살아가는 궁한 모습을 본 후 두 사람에게 힘들고 어렵지 않으냐며 돈 봉투와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지내라며 두 사람에게 겨울 옷을 내밀고 아내는 서울로 올라왔다. 목월과 그 여인은 그 모습에 감동하고 가슴이 아파 그 사랑을 끝내고 헤어지기로 한 후, 목월이 서울로 떠나기..
2022.09.14 -
[224~242] 제4부 글의 구조에 대한 이해... 2) 조사를 정확하게 써야 한다
제4부 글의 구조에 대한 이해··· 2) 조사를 정확하게 써야 한다 14018_장려상_한라산_한라산반영_황영훈_D 2) 조사를 정확하게 써야 한다 ▶ 보조사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국어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조사를 통해 단어의 문법적 의미나 실질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조사는 국어에서 아주 큰 역할을 한다. 조사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가 격조가이다. 격조사는 단어의 격을 지정하는 문법적 역할을 한다. 즉 어떤 단어에 붙어 그것이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등의 구실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주격, 목적격, 보격, 서술격, 부사격, 관형격 등의 격조사가 잇다. 알아두어야 할 것은 격조사는 격의 지정이라는 문법적 여할만을 ..
2020.04.23 -
[196~206] 제2장 주제와 소재의 이론적 접근... 2. 주제의 설정
196~206] 제2장 주제와 소재의 이론적 접근...2. 주제의 설정 14019_장려상_경주_삼릉솔숲의아침이야기_김하영_D 2. 주제의 설정 1) 주제설정의 과정 ▶ 주제에는 세 가지 차원이 있다 글을 쓰기 위해 제일 먼저 밟아야 할 과정은 바로 주제를 설정하는 일이다. 어떤 글을 두고, 이 글은 '무엇' 에 대해 썼다라고 말할 때 이 '무엇' 을 일러 바로 주제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한마디로 '무엇' 이라고 말할 수 있는 글의 중심내용을 바로 주제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글의 중심내용이라는 이 말은 겉보기처럼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삶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취미는 교양과 같다.(절절하게 계발된 취미는 그 소유자의 품성을 순화시켜준다). 가장 이성적인 삶의 ..
2020.03.22 -
[184~196] 제2장 주제와 소재의 이론적 접근...1.소재, 제재, 주제
184~196] 제2장 주제와 소재의 이론적 접근...1.소재, 제재, 주제 14018_장려상_한라산_한라산반영_황영훈_D 제2장 주제와 소재의 이론적 접근 이제 주제와 소재의 뜻을 바르게 정립하기 우해서 진전된 논리를 살펴보기로 하자. 그러기 위해서 글을 쓰고자 하는 뜻을 가진다는 말이 처음이 된다. ..
2020.03.22 -
[174~183] 제3부 제1장 주제와 소재로 들어가는길 2. 주제는 글쓰기의 초점이다
제3부 제1장 주제와 소재로 들어가는길 2. 주제는 글쓰기의 초점이다 2. 주제는 글쓰기의 초점이다 1) 주제가 확실해야 내용이 질서를 갖출 수 있다 무엇을 쓰고자 하는 생각이 있어야 글이 될 수 있다. 글이 갈다거나 잛다거나 하는 문제를 떠나서 글은 상상의 표현이므로 무엇을 쓰고자 하..
2020.03.20 -
[165~174] 제3부 제1장 주제와 소재로 들어가는길 1. 풍부한 소재는...
제3부 제1장 주제와 소재로 들어가는길 1. 풍부한 소재는... 14013_장려상_북한산_도봉산의해넘이_홍종석_D 박동규 교수님의 "글쓰기를 두려워 말라" 책을 몇번 읽었지만, 읽는 당시는 이해가 되다가도 책을 놓고 나면 멍멍하다. 그래서 이번엔 아예 교수님 저서 "글쓰기를 두려워 말라" 책 전권을 타자를 쳐, 블로그, 카페에 올려 시간, 장소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저자이신 교수님의 양해를 구합니다. 1. 풍부한 소재는 글쓰기의 바탕이 된다 1) 글의 재료가 되는 소재에 대해 바른 눈을 떠야 한다 중학교 때 국어시간이었다. 선생님이 흰 시험지를 나누어주더니 자유롭게 작문을 해보라고 하였다. 나는 멀거니 흰 종이를 보고 한참 동안이나 앉아 있었다. 무엇을 써야 할지 알 ..
2020.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