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전 실장은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사건을 놓고 검찰을 원망하거나
비난하고 싶진 않다"면서 "하지만 피의사실 공표나 수사 내용의
생중계가 얼마나 힘들게 하는 것인지 드러났으니 검찰도 이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검찰의 수사는 유죄라는 결론을 처음부터 내려놓고 모든
조사를 거기에 맞춰서 해나갔다. 나중에 노 전 대통령이 '지금
수사팀에서는 다른 결론을 내리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말씀을
하시더라"며 "이번 사건 평가를 떠나 검찰 스스로도 되돌아볼 문제이고,
사회적 논의를 통해 기준을 세워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문 전 실장은 소환 조사 전후 노 전 대통령의 심리 상태에 관련해
"노 전 대통령 자신은 소환조사를 받는 사실 자체에는 담담했다.
대통령을 지낸 분에게 소환조사는 안 된다거나 하는 특권 의식은 전혀
없는 분"이라며 "조사 과정에서는 대통령이 성의 있게 임하셨고,
검사들도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충분히 했다. 검찰이 결론을 내놓고
있었던 것이 문제이지, 형식은 무리한 게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예상 밖의 조문과 추모 열기와 관련해 "얼마 전까지 비난 일색이었던
싸늘했던 민심을 생각하면 전부 노 대통령에 대한 애정이나 지지 표현으로
봐야 할지 모르겠다"면서도 "이분이 목숨을 버린 다음에야 그의 진정성을
국민들이 알게 되면서 공감과 안타까움과 자책이 있었던 것 같고,
즉 참여정부의 가치들이 깡그리 부정되면서 민주주의나 인권, 복지 등
모든 면에서 후퇴하는 정치 현실에 대한 분노가 복합된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정치보복에 의한 타살'로 보는 시각에 대해
"꼭 정치보복에 의한 타살로까지 생각하고 싶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수사와 관련된 여러 상황들이 그분을 스스로 목숨을 버리도록 몰아간
측면은 분명히 있으니 타살적 요소는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