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창작반(24)
-
[제11장 시의 어조와 화자의 설정] 1. 시적 어조(語調)의 의미
1. 시적 어조(語調)의 의미 1) 어조의 개념 어조(語調), tone)란 다름 아닌 말하는 사람의 감정과 태도의 목소리이며 말씨, 말투를 의미한다. 시에서 말하는 사람을 시의 화자, 시적 자아, 서정적 자아라고 하는데, 이들 목소리가 곧 어조이다. 우리는 어조를 통하여 시적 화자의 태도를 알 수 ..
2018.10.08 -
[제10장 상상력의 미학적 형상화] 4. 시적 상상력을 키우려면
4. 시적 상상력을 키우려면 1) 감수성(感受性, sensotovty)을 통한 연상력 키우기 감수성이란 한 마디로 '자극을 받아들여 느끼는 성질이나 성향'을 말한다. 시는 누구나 일상적 체험에서 느끼는 감적과는 다른 어떤 특별한 감동내지 감흥을 바탕으로 한다. 곧 인상적인 느낌(자연의 섭리, 생..
2018.09.28 -
[제9장 시적 상상력의 원천] 5. 생명주의적 상상력
5. 생명주의적 상상력 자연 친화적 인간상 혹의 자연 재해에 대하여 응전력을 보이는 인간강, 생명주의적 창조적 인간상은 우리 문학이 지향할 과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최근 기술 권력의 맹위에 가위눌렷던 우리들 본연의 생명적 상상력이 문학적 감수성에 실려 이제 회생의 조짐을 보..
2018.09.10 -
[제9장 시적 상상력의 원천] 3. libido적 상상력
3. libido적 상상력 'libido'라 정신분석학 용어로 성본능(性本能) · 성충동(性衝動)의 뜻이다. 프로이트(S.Freud)는 예술, 문학, 미학에 관해서 22개의 저작물을 남길 정도로 창조적인 작업들에 관심이 많았다. 흥미롭게도 미술이나 음악보다는 주로 연극이나 소설, 시 등에 더 열광했다. 프로이..
2018.09.03 -
[제9장 시적 상상력의 원천] 2. 노자 . 장자적 상상력
2. 노자 . 장자적 상상력 노자(老子)의 핵심적 사상은 ‘무위자연(無爲自然)’에 있고, 장자(莊子)는 물아일체(物我一體)에 두고 있다. 이들 도가적 사상의 핵심은 인위(人爲)와 세속(世俗)을 초월하여 자연의 흐름에 내맡기고 살고자하는 철학적 배경을 담고 있다. 곧 반문명적, 탈가치적, ..
2018.08.13 -
[제8장 시상 전개의 형상화 논리] 1. 선경후정(先景後情)의 논리
'시란 언어의 건축물이다'라고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말했다. 한편의 시는 시적 착상의 '중심이미지(perciding image)'로부터 전개, 발전하여 행과 연을 이루고 형상화된다. 그리하여 풍부하고 다양한 이미지들을 창조하여 언어 구조체를 형성해 나간다. 그리고 중심이미지의 시적 운행에..
2018.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