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문창 16]인문학적 성찰의 魔力

2017. 10. 3. 09:00☎순수수필작가회룸☎

728x90

[2017 문창 16]인문학적 성찰의 魔力


문광영


함께 공부하고 더불어 학습하는 사람들이 서로의 벗, 스승.

    →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三人行 必有我師焉(세 사람이 길을 가면 여기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공자는 자신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라면 그가 거지든 도둑이든 사기꾼이든 다 한 가지 정도는 배울 것이 있다고 가르친다.

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因而學之 又基次也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자가 최사이고, 배워 알게 되는 자가 그 다음이고, 어렵게 알게 되는 자가 또 그 다음이 될 것이나, 어려우믈 겪고도 배우려고도 하지 않는 그런 백성을 일러 최하라 한다. (論語 季氏). -有生而知之自, 有學而知之者, 有困而知之者


인간이 무엇을 터득하는 데는 생이지지(生而知之) 형, 학이지지(學而知之)형, 곤이지지(困而知之)형의 세 종류가 있다. 이를 보통 삼(三知, 生知, 學知, 困知)라고도 한다.


생이지지란 태어나면서부터 바로 아는 경지를 말하고, 학이지지란 배움을 통하여 아는 경지를 말하고, 곤이지지는 고생고생 힘들여서 아는 경지를 말한다.


三知 중에 끝자리인'곤이지지(困而知之)'라의 사전적 풀이는 '지식 등을 고생(苦生)하며 노력한 끝에 깨닫는 일'이라 정의 하였고, 이는 곧 배우고 익히고 또 되뇌면서 노력하는 과정을 거쳐 지적능력을 체득한다는 듯으로 봅니다.


성인(聖人) 공자께서도 스스로 '생이지지'가 아닌 '학이지지'로 謙辭)하셨고 대학자인 퇴계(退溪)나 율곡(栗谷)선생도 자신은 '곤이지지(困而知之)'라고 하였다. 물론 후생(後生)들에게 '배움 앞에서 겸손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려 함이었을 것이다.


내 자신은 어디에 속하는가?

학이지지형이나 곤이지지형에 속하는 사람이 해야 할 일을 그져 열심히 노력하는 길이다.


1. 인문학적 통찰로 지혜의 성찰, 깨달음, 발효(醱酵) 의식, 돼새김질을 하면서 살기.


  최근 인문학이 일반인들한테 관심과 인기의 대사잉 되는 것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그만큼 각박하고 위험해졌다는 절박성의 반증(김우창), 방향 상실의 시대.


  인생의 정해진 길은 없다.

  '사람으로서' 산다는 것 - 체험과 앎을 섞어 발효시켜 나가는 일→인문학의 힘.

  언제든 공부하자. '4년제 대학'을 '100년재 대학'으로 (최재진)


     "지식의 반감기가 줄어든 세상에 살고 있으니, 옛날처럼 한 번 배우고 평생 사는 게 아니라 계속 배우고 또 쓰고 해야 한다."(피터 드러커)


  앎, 삶이란 : 한 가지로 '사람과 세계를 보는 눈'의 깊이, 사람으로서의 눈높이.

  문학에서의 '앎과 삶'이란 하나의 새로운 감동, 깨달음을 통한 '省察意識'이다.

  소크라데스가 아네네 사람들에게 "성찰 없는 인생은 살 가치가 없다"고 설파한 의미, 성찰을 할 능력돠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드물었기 때문에, 오느날도 마찬가지.


 폭양아래서 마르고 말라 딱딱한 소금이 되고 싶던 때가 있었다. 세상에서 제일, 쓰고 짠 것이 되어 마대자루에 담기고 싶던 때가 있었다. 한 손 고등어 뱃속에 염장 질러 저물녘 노을을 비낀 산굽이를 따라가고 싶던 때도 있었다. 형형한 두 개 눈동자로 남아 상한 날들 위에 뿌려지고 싶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 나는 이 딱딱한 결정을 버리고 싶다. 해안가 암초 숲을 지나, 유인도 무인도를 모두 버리고, 다시 물이 되어 출렁이고 싶다.


 이건청<소금> 《시와 시학》(20016 가을호)


● 한 인생의 삶이란 변신의 과정이다. 이 변신의 과정에서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은 무엇인가. 바로 욕망과 꿈이다. 그런데 인간의 욕망, 꿈이란 사막의 신기루와도 같이 허망한 것. 그러나 허망할 지라도 우리 인간은 사막의 오아시스를 향해 줄곧 걷는다. 곧 꿈이 없으면, 목적이 없으면, 얻으려는 대상이 없으면 사람은 살지 못하는 것이다. 그 대생만을 취하면 더 이상 아무런 욕망이 없으리라 생각하지만, 그것을 쥐는 순간 그 욕망의 대상은 저만큼 물러나는 것이다. 학문, 돈, 권력, 성의 추구도 이와 같아 계속 상승된다. 여기에서 인간은 허상을 믿는다. 그 허상을 실재라고 믿기에 그것을 얻으려 한다. 바닷물의 결정체인 소금, 그 소금은 류시화가 말했듯이 '바다의 눈물이요, 바다의 아픔이요, 바다의 상처'이다. 그래서 소금은 쓰고 짠 맛을 내어 모든 음식, 삶의 여정에서 간을 맞출 수 있고, 상한 날들 위에 뿌려질 수 있는 것이리라. 그런데 이제 시인은 딱딱한 결정을 버리고 싶다고 한다. 모두 버리고 다시 물이 되어 출렁거리고자 하고 잇다. 해탈이다. 속세의 정점에서 완전한 자기로부터의 혁명이다. 탈속의 경지에 이른 시인 자신의 깨달음에 찬사를 보내고 싶다. 자연의 모든 사물에는 흔이 깃들여 잇다. 그래서 자연의 혼을 일궈내는 시 언어의 마법은 상처의 문학이요. 치유의 문학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문광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문학평론가)


  성찰의 인문학적 소양이 삶을 의미 있게 만든다.


  첫째, 인문학은 레고다. 둘째, 인문학은 흐르는 강물이다. 셋째, 인문학은 요리가 아니라 요리법이다. 넷째, 인문학으로 사고를 쳐라!


  인문학에 목말라하는 것은 자신의 역할에 인문학적 통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문학은 밥이다. 배움과 통찰, 깨달음 속에 살아가는 사람이 힘 있는 세사이옥, 진정한 참 인가. 그런 사람들이 사는 세상이 천국이고 극락이다.


  서양 인문학(humahities) : 로마의 정치가 Marcus Tilius Ciciuso가 교육프로그램을 짤때 원칙으로 삼앗던 Humanitas에서 유래. 이말이 교양교육의 의미로 확장된 것은 2세기 무렵 로마의 수필가 Aulus Gellius에 의해서였고, 지금의 미국대학의 교양과정을 일컫는 liveral Arts와 상통, 중세 때에 리버럴 아츠는 자유학문을 의미하는 말(trivium 3학 = 3문법, 수사학, 논리학, quardrivum 4학 = 산술, 기하, 음악, 천문학)을 묶어 자유학문이라고 했음. 르네상스 시대에는 전신과 신체의 통합적인 완성을 꾀한다는 명목으로 기족 7과목에 고어와 고문예를 더했다.


  동양 인문학 : 人文은 天文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상과 문화, 인간의 조건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文, 史, 哲로 좁은 의미로 분류하기도 한다.


  인문학의 열풍은 1997년 IMF 외환위기와 맞닿아 있다. 일에 자신의 삶을 버리면서까지 일에 매달리고, 조직에 충성했지만 돌아온 것은 매정하고 가혹한 현실.  


  "과연 나는 누구이고, 무엇인가>", "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등의 회의와 성찰이 인문학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인문학적 성찰은 더욱 맛있는 밥이 되기도 하고, 몸에 좋은 떡이 되기도 하며, 매혹적인 술이 되기도 한다.


  인문학은 지하수와 같다. 지표에서 보이지 않는 지하수의 수맥을 관리하고 개발하듯 해야 한다.


  인문학이 위축된 것은 사회가 오로지 효율성과 생상성 등 '당장의 실용성;만을 요구해왔기 때문이다(김경집)


  지식을 세분화해 하나의 영역을 파고 들던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 그 열쇠를 인문학이 쥐고 잇다. 사고의 확장과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의 자유정신 - 자유정신, 히피정신, 직원들에게 1년, 혹은 6개월 씩 안식년, 휴식을 주는 기업들이 얼마나 있는가?


  통섭의 개념, 통섭적 융합, 학문 넘다들기, 다원주의 지향, 다학문적 접근, 감성지는교육, STEAM융합인재교육, 기존 예술, 장르 개념의 일탈을 보라.


  인문학의 답은 하나가 아니다.


  생물학자 최재천(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에 당면, 저서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고령화 문제(사회학, 인구학, 경제학, 법학, 생물학까지 덤벼들어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음)


2. 경물치지(格物致知)


  유교철학의 인식이론, 《대학》에서 제시된 '8조목' 가운데 처음 두 조목으로,

  주자(주희(朱熹))는 "세상의 살라만상은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이치를 갖추고 잇다. 이 이치를 하나씩 따져 들어가면 마침내 확연하게 세상 만물의 이치를 밝혀낼 수가 잇게 된다."고 말했다. 주자는 '격'을 '이른다(至)'는 뜻으로 보아 '격물'을 '만물이 지닌 이치를 추구하는 궁리(窮理)'로 해석하여, '모든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들어 가면 (格物) 앞ㅁ에 이른다(致知)'고 하는 '성즉리설(性卽理說)'를 확립했다.


  王陽明은 이 주자의 가르침을 실천에 옮겼다. "마음을 바로 잡으면 양지(良知)에 이른다"


 ○사서오경(四書五經) 중의 하나인 《대한(大學)》은 유가의 교리를 간결하고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인데, 크게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강령은 '명덕(明德)',신민(新民)’, ‘지어지선(止於至善)’이고, 팔조목은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재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이다. 이 팔조목 중 격물과 치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대학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이 두 가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뜻이 적혀 있지 않아 후세에 그 해석을 놓고 여러 학파가 생겨났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자자학파(朱子學派)와 양명학파(陽明學派)이다.



 



3. 감성을 깨우는 인문학



 



인문학은 좀 더 성숙한 사람이 되는 방향, 눈높이로 생각의 범위를 넓혀주고, 우리의 가는성을 확장시켜 준다.



그 인문학의 중심에 문학, 미술, 음악이 있다.



 



4. 輕小短薄(경소단박)의 시학



 



경소단박이란 가볍고, 작고, 짧으며, 얇은 것을 말한다. 워크맨, 스마트폰과 같이 작고 가벼운 상품, 일본전자업체 상품들의 대표적인 특성 단순히 작고 가벼운 것 자체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가장 우선시하는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 일본문학의 하이쿠(徘句)가 경소단박이라는 일몬문학의 특징을 형성했다. 나아가 일본 전자제품이 전 세계를 석권한 이유 중 하나가 경소단박의 디자인과 기능성이라는 점은 문학과 이간 정신의 길향작용을 보여주는 사례다.



○ 하이꾸는 일본 정형시의 일종이다. 시적 압축이 상당하다. 17자로 이루어졌잇다. 안도현 시인은 한 컬럼에서 "하이쿠의 역사는 1000년 가까이 되는데 일본에는 1000개에 가까운 동호인 모임이 있다고 한다. 하나의 표현양식이 오랜 세월 동안 형식과 작법이 변하지 않고 내려오고 있다는 건 예술사에서 드문 일."이라고 이야기했다. 이 정도로 오래 되고 탄탄한 기반을 가진 문화라면 일본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하이쿠에 대한 이해가 필수일수밖에 없다.



○ 도요토미 히데요시(1536~1598)가 죽은 뒤 새로운 실력자 도쿠가와 이에야스(1543~1616)가 세습적 순사 독자체제인 바쿠후(幕府)를 새로 열면서 기존의 계급구조에 큰 변화를 초래했다. 무사 계급도 변화를 피해 갈 수 없었다. 이전과 같은 대규모 전토도 점차 줄었기 때문에 무사들의 입지가 축소될 수 밖에 없었다. 무사와 승려 계급은 문자속에 있던 계급이었다. 이들 가운데 시인으로 탈바꿈하는 경우가 생겼다. 그러면서 전쟁 이전의 정형시인 렌카(連歌)가 에도 시대에 단가 형태로 바뀌었다. 그것이 바로 하이쿠랜카, 즉 하이쿠였다. 그리고 그 대표적 시인이 바로 마쓰오 바쇼(1644~1694)를 선두로 요사 부손(1716~1783), 고바야시 잇사(1763~1827)을 들수있다.  



○ 오랜 전쟁, 전투가 끝나고 에도 시대에는 무삳르의 역할이 애매했다. 이들 중 일부는 시인으로 변신을 하였다. 이들에 의해 기존 정형시가 짧은 하이쿠로 변형되었다. 단칼에 승부를 보았던 무사들이라 긴 호흡보다는 짧은 호흡을 선호했을지 모르겠다. 이때부터 일본 시의 대명사는 하이쿠가 되었다.



○ 17자의 촌철살인, 자연.해학.고독의 노래, 단 한 줄의 시에 찰나와 우주를 담는다.



 "이 길이여 / 행인 하나 없는데 / 저무는 가을"(바쇼)



 "범종에 앉아 / 하염없이 잠자는 / 나비 한 마리"(부손)



 "여윈 정강이 / 부등켜 안고 있네 / 오동잎 하나"(잇사)



 



○ 전업 시인이 생겼고 많은 시를 창작했다.



 "감흥에 따라 단편적으로 창작되었던 조선의 시조와 달리 하이쿠는 전문작가들이 일본 곳곳을 순례하면서 지속적으로 지어냈다. 그래서 한 작가가 수천 편의 작품을 남겼다. 그들은 일종의 음유시인과도 같았다. 그런 전통은 그대로 근현대까지 이어져 일본 문화에 그야말로 전문가객으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노하우가 축적되면 될수록 더 세련되고 깊이 있는 작품들이 생산되었다. "(책 '인문학은 밥이다', 김경집 저)





















○ 우리가 접하는 조선의 시들은 대부분 관리들이 남긴 것들이다. 전업 시인은 아니었다. 흥에 겨워 남기거나 때로는 유배를 떠나며, 인생의 변곡점에서 시를 짓곤 햇다. 전업 작가에 비해 양이나 질적으로 앞서기는 어려운 환경이었다. 일본은 우리와 달랐다. 하이쿠 전문 작가들이 여럿 등장했다. 전국을 누비며 작품을 남겼다.





○ 일본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이쿠는 일본 문학 전체를 특정짓는 경향이 되었고 심지어 현대의 산업에소 영향을 미쳤다. 경소단박(輕小短薄), 즉 가볍고 작고 짧으며 얇은 것은 전 세계를 석권한 일본 가전제품의 개성이 되었다. 지금이야 일본의 가전산업이 위축 되었지만 지난 50여 년 동안 일본의 가전제품이 세계에서 사랑받았던 힘이 경소단박에서 나왔다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이쿠는 문화라는 것이 비단 시문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 일반에까지 퍼져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규정하는 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졸은 본보기다....,일본하이쿠는 감정의 절재와 극도의 단순화를 내면화한다. 이것이 일본인의 사고와 감성을 이룬다." (책 '인문학은 밥이다', 김경집 저)


○ Sony가 대표적인 경소단박 제조기업이다. 워크맨이나 베타 VCR 들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간다. 다른 기업의 같은 종류 제품에 비해 압도적으로 알고 가벼웠다. 그만큼 고장이 잘 난다는 불평도 간혹 있었지만 제품의 이미지는 최첨단 그 자체였다. 감정의 절제와 극도의 단순화를 모토로 하는 하이쿠가 영향을 미친 셈이다. 문학은 한 국가, 한 민족에게 중요한 정신적 영향을 미치곤 한다.




5. '시는 삶과 세상의 압축파일이다.'




○ 시는 인문학적 사유의 원천이다. 또 그 어느 무학 장르보다 우월하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시는 신성하고 산문은 저속하다.' 여겼다. 시를 누리는 삶은 그냥 건조하게 사는 우리네 삶과 다르다. 요게 백미다. 시 한 구절에서 나의 삶의 반영과 또한 남다른 삶을 발견할 수 잇는 단초를 제공한다. 잊고 지내던 나의 모습, 나의 삶, 나의 의미, 그것을 다시 발견하고 다잡는 것은 한 조각의 떡보다 영양가 잇다. 그게 시의 힘이다.




○ 과거시험에서 시는 권력이었다.




○ 시인 반칠환은 "지구는 통재로 제비꽃 화분이다"라고 노래한다. 



제비꽃 하나가 피기 위해


숲이 톤째로 필요하다


우주가 통째로 필요하다


지구는 통째로 제비꽃 화분이다.


반칠환<노락 제비꽃>




새싹이 돋아나기 위해


자연이 통째로 필요하다


우주가 톤째로 필요하다


지구는 통째로 새싹의 화분이다


김서연<새싹>




 


○ 우리는 땅 한 뼘, 한 그릇의 밥을 더 갖기 위해 기꺼이 내 인생관이나 세계관도 바꿀 용의를 갖고 있다. 그 한 뼘의 땅, 한 줌의 빵을 얻기 위해 새벽에 출근해서 한밤중에 퇴근한다. 심지어 그 소유를 위해 다른 사람에게 몹쓸 짓(살인, 도둑질, 사기, 강간 등)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자칫 내 삶이 송두리째 망가지기도 한다. 그런데 평소 눈길 한번 제대로 준 적이 없는 보잘 것 없는 제비꽃을 지구 전체의 제 화분쯤으로 여긴단다. 이 짧은 시구 하나가 타성에 젖은 나를 화들짝 깨운다. 이렇게 시란, 문학 작품이란 우리의 삶과 세상을 바라보는 신선하고 농밀한 시선을 갖게 한다.




6. 시는 우리의 삶과 세상을 바라보는 신선하고 농밀한 시선이다.




○ 그런데 농밀하고 신선한 감각, 사유를 선뜻 지니지 못하는 것, 곧 내가 그것들이 보이지 않는 것은 그것들에 편견을 가지고 있거나, 그것들을 현실 속에서 관심 없이 지나치게거나, 너무 산만하게 비슷하게 뒤섞여 있기 때문이다.


 


○ 모든 존재하는 것마다 의미가 있고, 또한 신비스러운 것이다. 몰입, 사랑, 관심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이 의미 없이 보인다.




7. 신선하고 농밀안 소재를 얻으려면, 관심을 갖고 의미 잇는 정신의 옷을 입혀라.




○ 우리의 생활과 주변에는 수 많은 이야깃거리들이 숨어잇다. 자기 자신의 체험, 이야기, 내 옆에 있는 친구의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어느 것 하나 의미 없는 것은 없다.




詩 한 편에 삼만 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시집 한 권에 삼천 원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덮여 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이 한 권 팔리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함민복<긍적적인 밥> 전문(시집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1996, 창비)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한 그루 나무를 보라


바람부는 날에는


바람부는 쪽으로 흔들리나니


꽃 피는 날이 있다면


어찌 꽃지는 날이 없으랴




온 세상을 뒤집는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뿌리


깊은 밤에도


소망은 하늘로 가지를 뻗어


달빛을 건지리라




더러는 인생에도 겨울이 찾아와


일기장 갈피마다


눈이 내리고


참담한 사람마저 소식이 두절되더라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침묵으로


침묵으로 길은 강을 건너가는


한 그루 나무를 보라


이외수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8. 왜 사람은 문화적 인간, 깨달음의 인간이 되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