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교육대학교(10)
-
제17장 이미지의 창출과 시의 구성
1. image란 무엇인가 시인은 전달하고 싶은 관념이나 실제 경험 또는 상상적 체험들을 미학적으로 그리고 호소력 있는 형태로 형상화시킬 수단을 찾는다. 이 수단이 이미지다. 다시 말하면 시인은 테마를 직접 진술하지 않고, 이미지로서 우리에게 전달한다. 이미지(心象)란 '마음의 그림(mental pocture)으로 '외부의 사물이 우리의 마음에 비춰진 그림자'를 말한다. 루이스(C.D.Lewis)는 이를 '말로만들어진 그림'이라고 했고, 이러한 이미지의 역할이 신선감, 강렬성, 환기력을 준다고 했다. 나아가 문학에서 이미지와 상상력에 관해 주목해왔던 바슐라르(C>Bachelard)는 문학 이미지를 비유적, 환기적, 묘사적 이미지로 나누고,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가치를 부여한다. 이미지, 곧 마음에 나타나..
2020.06.28 -
[제8장 시상 전개의 형상화 논리] 1. 선경후정(先景後情)의 논리
'시란 언어의 건축물이다'라고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말했다. 한편의 시는 시적 착상의 '중심이미지(perciding image)'로부터 전개, 발전하여 행과 연을 이루고 형상화된다. 그리하여 풍부하고 다양한 이미지들을 창조하여 언어 구조체를 형성해 나간다. 그리고 중심이미지의 시적 운행에..
2018.06.01 -
[제6장 시적 소재의 선택과 착상] 2. 시적 착상의 두 가지 방식
14029_한려해상_거제의+여름_박창수_D 2. 시적 착상의 두 가지 방식 시를 창작하는데 있어 두 가지 방식을 상정할 수 있다. 그 하나는 대상을 정하고 그 대상의 의미를 탐구하는 인식론적 방법이 그 하나요. 또 하나는 평소 시인이 주관적인 사색이나 명상에서 얻어진 생각이나 감정이 있을 ..
2018.05.03 -
[제6장 시적 소재의 선택과 착상] 1. 시의 종자와 착상
14061_월악산_월악산영봉운해_김학수_D 1. 시의 종자와 착상 1) 시마(詩魔)의 영감, 착상의 의미 한 마디로 시상(詩想), 착상(着想)이란 창작과 관련되는 머릿속에 떠로르는 생각이다. 그 시상은 어떤 특정 대상에 대한 것이거나 막연하고 추상적인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시의 한 구절이나 시..
2018.05.02 -
[제5장 서정시의 장르적 특징] 6. 정경교융, 관조의 시정
6. 정경교융, 관조의 시정 서사(徐事)가 자아와 세계의 대결 양식이라면, 서정(敍情)은 자아와 세계의 합일의 양식이다. 정경교육(情景交融)은 바로 동양시학적 개념으로 서정시의 시적 세계관인 자아와 세계의 동일성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정경교융은 서정시에서 서정적 자아인 주체, 곧..
2018.05.02 -
[제5장 서정시의 장르적 특징] 1.서정시의 개념과 의미
14022_설악산_신선대에서본울산암_김동대_D 1. 서정시의 개념과 의미 생명은 늘 회기하고 순환한다. 운문, 곧 verse의 어원인 versys라는 낱말도 '회기'를 나타낸ㄴ다. 그래서 생명은 운문이다. 왜 시가 리듬을 수반하는가? 바로 운문인 생명의 회기, 회감(回感)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운문의 뿌..
2018.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