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13. 13:07ㆍ☎똘똘한&스마트친구☎(0)
21-08-13 [부평구노인복지관] 알수록 궁금한 모바일 속으로 14강 - 카카오 지하철 어플 이용하기
플레이 스토어를 터치 합니다. 플레이 스토어가 보이지 않으면 구글 폴더를 찾아서 터치 합니다. 폴더 화면이 열리면 플레이 스토어를 찾아서 터치 합니다. 하단으로 이동해서 왼쪽에서 2번째 앱을 터치 합니다. 상단으로 이동해서 앱및 게임 여기를 터치 합니다. 하단으로 키보드가 표시되지 않으면 다시 한 번 터치 합니다. 하단으로 키보드가 표시되고 키보드를 이용해서 카카오 지하철이라고 입력합니다. 상단으로 키보드로 터치한 내용이 입력됩니다. 내용을 입력하는 중간에도 아래 부분으로 검색되어 보여줍니다. 검색된 내용에서 터치하면 설치하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지금은 바로 터치하지 않고 키보드로 이동해서 돋보기를 터치 합니다.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카카오 지하철 오른쪽에 설치를 터치 합니다. 여기에 설치라고 나오지 않고 업데이트라고 나온 경우에도 터치해서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여기에 열기 라고 나온 경우에는 설치나 업데이트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지금은 설치를 터치 합니다. 대기 중이라고 나옵니다. 잠시 기다립니다. 설치 중이라고 나옵니다. 잠시 기다립니다. 설치 됨이라고 나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열기를 터치해서 카카오 지하철을 실행해도 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 오른쪽 하단으로 이동한 다음 취소버튼을 여러 번 터치해서 현재 화면을 닫아줍니다. 카카오 지하철을 터치 합니다. 제가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하단으로 이동해서 시작하기를 터치 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수도권의 지하철 노선도가 표시됩니다. 하단에 광고가 있는데 광고가 있어서 지하철 노선도가 보기가 불편하다 그러면 오른쪽에 있는 x를 터치 합니다. 광고가 사라지고 수도권의 지하철 노선도가 잘 보이고 있습니다. 왼쪽 상단으로 이동해서 세줄을 터치 합니다. 아래로 지역 설정이 있는데 지역 설정은 지역에 지하철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지역의 지하철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여기를 터치 합니다. 아래 부분으로 지역의 지하철이 보입니다. 기본으로는 수도권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카카오 지하철을 처음에 실행했을 때 수도권의 지하철 노선도가 보였습니다. 다른 지역의 지하철을 조회할 경우에는 해당 지역을 터치하면 됩니다.
수도권에 있는 지하철 도착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서 오른쪽에 있는 지하철 노선도 부분을 터치합니다. 지하철 노선도가 보이고 노선도 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지하철역이 보이면 터치 합니다. 터치한 지하철역에 대해서 조회할 수 있는 간단한 메뉴가 표시됩니다. 그리고 하단을 보면 터치한 역에 도착하는 지하철의 도착 시간이 표시됩니다. 특정 지하철역에 도착하는 지하철에 도착 시간을 알고 싶고 지하철 노선도 가 보이는데 이렇게 보이는 노선도 중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지하철역이 보인다 그러면 해당 지하철역을 터치 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바뀌고 하단 부분에 터치한 지하철역에 도착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빠르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상단해서 지금처럼 지하철 노선도 가 보이지만 조회하고자 하는 지하철역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화면에 손가락을 두고 화면을 이동하면서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이동해서 지하철역을 찾기가 쉽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상단에 역명 검색 즐겨찾기가 있습니다 여기를 터치 합니다. 하단으로 키보드가 표시되고 키보드를 이용해서 탑승하고자 하는 지하철 역의 이름을 입력하거나 조회하고자 하는 지하철 역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상단으로 입력한 지하철 역의 이름이 표시되고 아래 부분으로 지하철 역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지금은 지하철역이 하나만 조회되었지만 어떤 경우에는 비슷한 이름이 같이 조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주의를 해서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검색된 이름이 하나여서 이렇게 하나만 조회되지만 여러 개가 비슷한 이름이 있을 때는 아래 부분에 여러개 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름을 입력하고 키보드에 있는 돋보기를 터치 합니다. 그러면 보이지 않았던 부분들이 보이게 됩니다. 탑승하고자 하는 지하철역 이름 또는 조회하고자 하는 지하철역 이름 위에서 터치 합니다. 터치한 지하철역에 위치가 표시되고 조회할 수 있는 메뉴도 표시됩니다. 하단으로는 지하철역 정보가 표시됩니다. 터치한 지하철역에 대해서 자세하게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지하철 역의 이름 위에서 터치 합니다. 터치한 지하철역에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현재 이 화면에서 지금 터치한 지하철역이 출발역인지 도착역인지를 지정할 수가 있습니. 이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노선이 보이는 부분에서도 출발이나 도착을 지정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터치한 여기에 시간표가 있습니다. 시간표를 터치 합니다. 그러면 시간표가 표시되고 양방향의 시간 정보가 표시됩니다. 그리고 상단을 보면 평일 시간대 시간표를 선택할 수도 있고 토요일 시간대와 공휴일 시간대에 시간표 도선택해서 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보면 급행 이 있는데 급행을 터치하게 되면 양방향 모두 급행에 대한 시간표만 조회할 수가 있습니다.
'☎똘똘한&스마트친구☎(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8-17 [부평구노인복지관] 스마트친구 42강 / 카카오톡 채팅방 기능 이용하기 / 코로나 현황, 이번주 날씨, 계산기 기능? (0) | 2021.08.19 |
---|---|
21-08-17 [부평구노인복지관] 스마트친구 41강 / 카카오톡 프로필 보내기 (0) | 2021.08.17 |
21-08-12 [부평구노인복지관] 스마트친구 40강 / 카오뷰(View) 이용자 입장 (0) | 2021.08.12 |
21-08-10 [부평구노인복지관] 스마트친구 39강 / 업데이트한 친구 보기/ 카카오톡 연락처 보내기 (0) | 2021.08.10 |
[부평구노인복지관] 알수록 궁금한 모바일 속으로 13강 - 카카오 버스 어플 이용하기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