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노인복지관]스마트친구 38강 / 카카오톡 라이브톡 - 진행자 입장

2021. 8. 5. 10:33☎똘똘한&스마트친구☎(0)

728x90

https://youtu.be/hYzul_VEe48

21-08-05 스마트친구 38/ 카카오톡 라이브톡 - 진행자 입장

 

온라인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는 플랫폼들이 많이 있습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인기를 얻으면서 마치 생방송을 하듯이 스마트폰에서도 쉽게 개인 방송이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톡을 통해서도 라이브로 생방송을 진행할 수가 있습니다. 개인적인 모임이나 화상회의 온라인 수업에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또는 결혼식 돌잔치 등의 행사를 준비해 줄 수도 있고 원거리 가족 간에 안부를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여행지에서 풍경을 실시간 영상으로 공유하면서 소통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방법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카카오톡의 라이브 톡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카카오톡의 라이브톡 은 그룹채팅방에서 한 사람의 라이브톡을 시작합니다. 그룹채팅방에 속해 있는 다른 사람들은 그 영상을 보면서 채팅할 수 있는 기능이 라이브톡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그룹 채팅방은 가족이나 친구 등 가까운 지인으로 구성된 채팅방 일 수도 있고, 어떠한 이해 관계로 구성되어 있는 채팅방 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채팅방에서 개인 방송을 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개인 채팅방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고 삼인 이상 모여 있는 채팅방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불특정 다수가 대상이 아닌 이용자가 원하는 친구들로 구성된 채팅방에서 라이브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톡을 터치 합니다. 카카오톡 화면이 열리면 화면 하단으로 이동해서 왼쪽에서 두 번째 말풍선 모양을 터치합니다. 위쪽으로 채팅방 목록 화면이 표시됩니다. 채팅방 목록 중에서 라이브톡을 터치하고자 하는 채팅방을 터치 합니다. 터치한 채팅방 화면이 열립니다. 화면 왼쪽 화단으로 이동해서 네모 안에 더하기를 터치 합니다. 바로 위쪽으로 여러 메뉴가 표시됩니다. 메뉴 중에서 라이브톡을 터치 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라이브톡을 시작하기 전에 화면입니다. 지금 화면에 비추는 모습은 스마트폰에서 전면 카메라가 비추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스마트폰 화면이 나를 향하고 있었다면 나의 모습이 여기 화면에 보이게 됩니다. 라이브톡을 시작하면서 화면에 나의 모습이 보이게 하고 싶다면 하단으로 이동해서 라이프톡 시작을 터치합니다.

 

나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보여주고 싶지 않은 화면이 있다면 화면을 먼저 정하고 라이브톡 시작 을 터치 합니다. 예를 들어서 전면 카메라가 비추고 있는 나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후면 카메라가 비추고 있는 화면을 보여주고 싶다면 화면 상단으로 이동해서 오른쪽에 동그라미 화살 표가 있습니다. 이 동그라미 화살 표는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전환하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터치할때마다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전환하게 됩니다. 갑자기 라이브톡을 시작하는 경우 당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원 버튼을 이용해서 화면을 먼저 정합니다. 그리고 하단으로 이동해서 라이브톡 시작을 터치 합니다. 지금은 전면 카메라가 비추고 있는 방향 그대로 두고 라이브톡 시작 을 터치 합니다. 라이브톡 시작 중이라고 표시됩니다.

 

라이브톡이 시작되고 왼쪽 상단에는 시간이 흘러 갑니다. 오른쪽에 있는 눈 모양은 지금 라이브 톡에 참여한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 핑크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카메라가 비추고 있는 방향을 보여주게 됩니다. 왼쪽 화단으로 이동하면 메시지 라고 되어 있고 커서가 깜빡입니다. 커서가 깜빡이는 부분을 터치해서 메시지를 입력해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동그라미 화살표는 카메라 전환 버튼입니다.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터치할 때마다 오른쪽 끝에 있는 가로로 되어 있는 세개의 점은 더 보기 메뉴입니다. 화면에 보이는 메뉴 이외에도 다른 메뉴가 숨어 있습니다. 여기를 터치 합니다. 다음과 같은 메뉴가 표시되고 마이크 끄기와 카메라 끄기 채팅 보지 않기가 있습니다. 여기서 채팅 보지 않기를 터치하게 되면 채팅 내용이 이 부분에 표시됩니다. 여기에 채팅 내용을 보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카메라 끄기 는 말 그대로 카메라를 꺼서 보여주지 않겠다는 겁니다. 마이크 끄기도 말 그대로 마이크를 꺼서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게 합니다. 지금은 기본 설정 값 그대로 두고 화면을 종료합니다. 임의의 공간을 터치 합니다. 메시지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하단으로 이동해서 메시지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터치 합니다. 키보드를 이용해서 내용을 입력합니다. 내용이 모두 입력되었으면 오른쪽에 있는 노란색 종이비행기 모양을 터치합니다. 보내기한 내용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지금처럼 이렇게 한 사람이 라이브 톡을 시작하게 되면 채팅방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채팅방 상단에는 홍길동님의 라이브톡 이라는 안내 메시지가 보이고 채팅방 내용에는 라이브톡 이라는 말풍선이 생기게 됩니다.

 

라이브 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채팅방 상단에 있는 홍길동님의 라이브톡 이라는 안내 메시지를 터치해도 되고 채팅방 안에 있는 말풍선 라이브톡을 터치해도 참여할 수가 있습니다. 비디오콜이 종료되면 화면에 임의에 공간을 터치 합니다. 왼쪽 상단에 종료를 터치 합니다. 화면 중앙으로 라이브톡 종료라고 팝업 됩니다. 진행중인 라이브톡을 종료 하시겠습니까 라고 물어봅니다. 종료하기 위해서 확인을 터치 합니다. 조금 전에 화면에서 본 것처럼 라이브톡을 시작한 사람은 방송을 하면서 동시에 채팅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조금 전에 방송을 시작하고 연습이라고 채팅 내용을 입력하고 보내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라이브톡은 시작한 한 명만 방송을 할 수가 있습니다.

 

페이스톡에서는 영상통화가 영상으로 소통하는 기능이 가능하지만 라이브톡은 일방통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시 말하면 라이브 톡을 시작한 사람이 진행자가 되고 화면에는 진행자만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음성도 진행자의 목소리만 들리게 됩니다. 그리고 그룹채팅방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영상을 보면서 음성으로 소리를 듣게 됩니다. 비디오톡을 할때 참여자들은 음성으로 말을 할 수 없고 음성 대신에 채팅으로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비디오콜에는 더 많은 기능들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은 비디오콜을 처음 시작하는 단계에서 간단하게 시작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