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 19. 20:31ㆍ☎청파산행과여행기☎
| |||||||||||||||||||||||||||||||||||||||||||||||||||||||||||||||||||||||||||||||||||||||||||||||
http://cafe.daum.net/salamstory 주소를 클릭 하면 이동 합니다 |
엄홍길 전시관
엄홍길 세계최초 히말라야 16좌 완등일지
두꺼비 바위
나무아미타불 자연훼손 하지 마세요
뜻은 좋다 편안한 나라 하지만 자연훼손 행위가 좀 그렇다.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으며 벌레를 잡고 있다.
두 동생들
망월사 해탈문
(망월사천봉당태흘탑 (望月寺天峰堂太屹塔)
하늘로 향하는 문 통천문을 지나
문수암
하늘로 향하는 문 통천문을 지나
통천문 오름길
통천문 계단위에서 본 풍경
망월사 요체들
운산전(雲山殿) 측면 모습
운산전(雲山殿) 법당안
망월사혜거국사부도(望月寺慧炬國師浮屠)
망월사혜거국사부도(望月寺慧炬國師浮屠)
운산전(雲山殿) 풍경소리
두 동생들
운산전(雲山殿)에서 본 망월산 뒷편 조망
운산전(雲山殿)에서 본 망월산 뒷편 조망
운산전(雲山殿)에서 본 망월산 뒷편 조망
망월사 종탑
망월사 대웅전 락가보전(洛迦寶殿)
락가보전(洛迦寶殿) 현판글
락가보전에서 본 운산전(雲山殿)조망
락가보전에서 본 운산전(雲山殿)조망
운산전(雲山殿)을 배경으로 나
포대능선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 정상
포대능선에서 본 사패산
포대능선에서 본 선만자 방향 조망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에서 본 풍경
포대능선에서 본 선만자 방향 풍경
포대능선에서 외사촌 누이동생과 함께
포대능선에서 단체 사진을
기암
오른쪽 암봉에 매달린 사람들은 Y계곡을 통과하는 사람이고 가운데 많은 인파는 신선봉에 오르는 사람들 모습이다.
가운데 자운봉 모습
Y계곡 통과 하는 동생들
Y계곡 통과 하는 사람들
수락산 방향 조망
Y계곡 통과 하는 동생들
Y계곡 정상에서 본 기암절경
신선봉에 오른 사람들
왼쪽하단 선인봉, 중간 만장봉, 상단 자운봉
자운봉
신선봉에서 본 포대능선 방향 조망
신선봉 정상에 사람들
신선봉에서 본 칼바위 능선 방향 서서히 깨스가 차고 있다.
신선봉 정상에 선 사람들
만장봉 정상 모습
46년지기 동생과 함께 깨스로 사진이 그렇다
하산길 너덜겅 코스
나무묘법련화경? 뭔 뜻인지?
해골바위
인절미 바위를 만나다 2010년 중학교 교과서에 내가 찍은 인절미 바위 사진이 수록되었다.
재미있는 바위 이야기
탐방객들에게 "인절미 바위"라 불리는 이 바위는 화강암의 일종으로 박리작용에 의해 풍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박리작용은 암석의 표면이 양파껍질처럼 떨어져 나오는 현상으로 그 원인은 가열과 냉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석은 한낮 햇빛에 의해 가열되고 밤에는 냉각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지만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가열의 효고는 암석의 표면에 집중됩니다.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표면층은 일정한계를 넘으면 압력에 의해 표면이 벗겨지는데 이것이 박리 현상입니다.
인절미 바위가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서서히 박리작용이 일어나록 불편하시더라도 탐방로를 우회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북한산 국립공원>
(2007년 12월 5일) 우리산내음 도봉산 산행 (범골능선 = 385봉 = 삼거리 = 사패산 = 사패능선 = 포대능선 = Y계곡 = 신선대 = 도봉 경찰산악구조대 = 도봉탐방지원쎈터 ) 구간 산행을 하고 하산길(경찰산악구조대 인근에서 만난 "인절미 바위" 사진을 찍었는데 이 사진이 2010년 중학교 교과서에 게제 되었다. 그러데 인절미 바위를 자세히 보면 그곳에 선착순님 모습이 촬영이 되었는데 선착순님 모습도 교과서에 게제 되었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나도 출판사로 부터만 연락을 받았지 교과서 확인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한국등산학교
국립공원등산학교 올바른 등산문화와 기초상식과 긴급상황 대처요령, 기초촬영술 산행실습(스트레칭, 산악보행법, 스틱사용법)을
홈페이지 : http://ecotour.knps.or.kr/Msec/ 연락처 : 02-909-3693
국립등산학교 전경
도봉산탐방지원쎈타 인근 조성된 공원 일대
도봉탐방지원쎈타 앞 공원에 모형으로 만든 자운봉 모습이다. |
ⓒ 2011 OhmyNews |
도봉산 / 산
- 주소
- 서울 도봉구 도봉동
- 전화
- 02-909-0497
- 설명
'☎청파산행과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9월20일 요즘 이야기 (0) | 2011.09.20 |
---|---|
2011년 9월19일 요즘 이야기 (0) | 2011.09.19 |
[스크랩] 도봉산 산행길에 인절미 바위를 만나다. (0) | 2011.09.19 |
2011년 9월18일 요즘 이야기 (0) | 2011.09.18 |
2011년 9월14일 요즘 이야기 (0) | 2011.09.14 |